본문 바로가기
국어공부

[최수연] 봄방학을 이용해서 국어 고득점을 위한 발판 만들기 수능특강 문학편. 2-3월 공부전략

by [최수연] 2018. 2. 11.

안녕하십니까 새로 블로그를 개설한 최수연 이라고 합니다.

간단하게 저의 소개를 해드리고자 합니다.

고등학교 시절 내내 국어 점수가 70점대에서 90점대까지 수시로 진동하였고 따라서 국어를 잘하는 건지 못하는 건지 헷갈리기도 했습니다.

스스로 많은 고민을 하고, 여러가지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며 공부법들도 많이 찾아보았습니다.

2018학년도 수능 100점이라는 결과를 만들어 냈고 저와같이 고민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블로그를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공부법에 정답은 없으며 저의 글들을 보시고 맞지 않다고 느끼시면 자신만의 방법으로 바꾸어보세요. 실제 수능100점을 만들어낸 공부방법이기에 믿고 따라오신다면 성적향상이 분명히 될 것입니다.-




많은 학생들이 겨울방학 - 개학 시기에 공부방법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할 것입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내신시험 → 반복학습  수능 → 응용력 이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학교가 3학년 내신시험은 수능특강에서 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응용을 하기 위해서는 기초가 다져져야 합니다.

따라서 수능특강이 나온 이 시기에는 기출이나 사설문제 보다는 수능특강에 집중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수능특강 국어영역 문학 공부방법


현재 2019 수능특강은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2부. 적용 학습 3부. 실전 학습으로 이루어져 있고 1부는 교과서 개념과함께 작품이 실려있습니다. 

2부는 작년수능 기출과 12개의 고전시가 10개의 현대시 14개의 고전 산문 11개의 현대 소설 19개의 갈래복합 문제로 총 66개의 작품이 실려있습니다.

3부는 18문제씩 2회로 나누어져있습니다. 


이 시기에 집중해야할 파트는 2부 3부입니다. 1부는 개념설명에 집중한 파트이고 문제형식또한 주관식 문제들이 있어 문제풀이에 방해가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1부 문제의 질이 낮다는 것이 아닙니다. 봐야하는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중요한 2,3부를 먼저 보는 것 입니다.


학습의 목적

 내신 시험을 대비한 작품들 한번 훑기, 자신이 어느 갈래에 약한지 파악해보기 


추천 학습량

 매일 매일 2부의 각 갈래별로 1지문씩 (기출제외 총 5문제씩) 2주안에 완료

 3부 1일 1회로 2일 완료


추천 학습 방법

 고전시가, 현대시 

1. 해당 작품의 내용을 상상하면서 읽어봅니다. (머릿속에 그림을 한폭 그린다고 생각하며) 

2. 한 지문을 풀고 매깁니다.

3. 자신이 왜 틀렸는지 나름의 이유를 만들어 봅니다.

4. 답안지를 보며 어느부분에서 잘못된 해석을 했는지 파악합니다.

5. 답안지의 해제, 주제, 구성을 꼭 읽어봅니다. 


 고전산문, 현대소설, 갈래복합

1. 소설책 읽듯이 흥미를 가지고 읽어봅니다. (장면을 상상하며 읽습니다.)

2. 여러명의 인물이 나올경우 각 인물들의 관계를 정리해봅니다. 주인공이 한명인 경우 주인공의 심리상태등을 정리합니다. (머릿속에 하거나 노트에 적어도 좋습니다.)

3. 한 지문을 풀고 매깁니다.

4. 자신이 왜 틀렸는지 나름의 이유를 만들어 봅니다.

5. 답안지를 보며 어느부분에서 잘못된 해석을 했는지 파악합니다.

6. 답안지의 해제, 주제, 전체 줄거리를 꼭 읽어봅니다. 



 아마 이 방법대로 따라오시려면 문학에만 하루에 한시간이상은 잡으셔야 할 것입니다. 수학이나 다른 과목들도 중요하겠지만 지금 이 시기가 국어 발판을 만드는데 가장 중요한 시기인 것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적어도 한달안에는 수능특강 문학편을 다 볼 수 있도록 하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다음에는 독서편으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