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공부

[최수연]자신만의 독서 공부를 위한 가이드 2. 빠르고 정확하게 풀기

by [최수연] 2018. 2. 11.

안녕하세요 최수연입니다. 이번 주제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지요. 빠르고 정확하게 풀기위한 방법이 여러가지 있겠지만 이번에 소개해 드릴 방법은 읽으면서 문제를 미리 예상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최근 수능에는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 지문들이 출제되고있습니다.


시간 조절에 대해서도 많은 견해가 있습니다. 화작은 몇분안에, 독서는 몇분안에.. 이렇게 정해서 푸는 것은 의미가 없습니다. 수능 시험장에서 어느 분야의 난이도가 어떻게 나올지 모르는 상황에서는 의미없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수능장에서 유기적으로 문제풀이 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 모든 유형에 대해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알아야합니다.


그래서 정확하고 빠르게 풀자는 것 입니다. 평가원문제를 한번읽고 한번에 쭉 푸는 사람이라면 이 글을 볼 이유가 없겠죠. 앞으로 문제풀이 전략은 적은 횟수로 읽고 확실한 답을 빠르게 체크하는 것 입니다. 


정확하고 빠르게 풀기위한 학습방법은 


지문을 읽음과 동시에 예상문제를 만들어보는 것 입니다.


이부분은 많은 직관력을 필요로하고 훈련을 통해 능력을 길러야 하기 때문에 학기 초 부터 모든 지문을 이렇게 읽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1. 나오는 모든 전문용어와 정의는 자신만의 방법으로 체크를 해둔다. 

  윗글의 내용과 일치 하지 않는 것은? 에 해당하는 문제로 자주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2. 읽고있는 지문의 주제가 무었인지를 염두하면서 읽는다.

  독서능력을 평가하는데 있어 글의 주제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와 B를 비교하는 주제라면 A,B의 공통점, 차이점을 물어볼 가능성이 큽니다.


3. 전문용어 임에도 설명이 부족하게 나열되어있다면 해당부분을 체크해두고 빠르게 넘어간다.

  이런 전개를 보여준다는 것은 문제에서 보기로 설명해주고 출제할 가능성이 큽니다.


4. 인물이 나온다면 그가 펼친 주장이나 업적 등을 같은 모양으로 표시해둔다.

   

5. 따라서, 그 결과 등의 접속사에 유의한다.


위에 설명한것 이외에도 많은 부분들을 체크하면서 읽어야합니다. 하지만 글의 목적에 따라 체크할 부분이 다르고 양이 많이때문에 모든것을 소개해 드리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훈련하여 자신만의 필수 체크 목록을 만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우선 문제를 풀고난 뒤, 해당 문제의 모든 선지의 근거를 지문에서 찾아 표시합니다. 맞는 선지는 왜 맞는지 틀린 선지는 왜 틀린지 다 표시를 한뒤 해당 지문을 쭉 읽습니다.


이런 훈련을 통하여 얻어야 하는 것은 이런 문장들이 문제화 된다 라는 것입니다.




1편과 2편의 내용을 조합해보면 끊어서 풀되 읽으면서 문제를 예상한다 입니다. 


이런 방식을 통해 수능 전날 까지 현재 공부하고 있는 문제들을 풀어나가시면 됩니다.

처음에는 어떤 문장이 문제로 나오는지 잘 모르기때문에 시간이 오히려 더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자신만의 체크리스트가 늘어갈 수록 풀이속도는 점점 빨라질것이라 확신합니다.